"이 이미지는 사람이 그린 게 아니에요?" 이제 이런 질문이 낯설지 않은 시대입니다.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는 상상만 하던 장면을 텍스트만으로 만들어내며, 디자이너, 마케터, 작가, 개발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미드저니(Midjourney), 빙 크리에이터(Bing Image Creator), 픽사이브 AI(Pixai.art)를 이미지 품질, 사용 난이도, 저작권, 한국어 대응, 사용 목적 기준으로 비교해드립니다.
📌 목차
- 미드저니 – 예술성 넘치는 프리미엄 이미지 생성기
- 빙 크리에이터 –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무료 생성기
- 픽사이브 AI – 일본식 캐릭터 스타일 최적화 플랫폼
- 비교표
- 결론 및 추천 사용자 유형
1️⃣ 미드저니 – 예술성 넘치는 프리미엄 이미지 생성기
“AI 이미지도 ‘작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미드저니(Midjourney)는 가장 예술적이고 디테일이 뛰어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AI 생성기입니다. 특히 인물, 자연, 건축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고해상도 작품 수준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 디스코드 기반 명령어 입력 방식 (/imagine)
- 현실+환상+초현실 스타일 모두 지원
- 구체적인 프롬프트에 민감하게 반응
- 고해상도 출력, 리믹스, 업스케일 등 고급 기능 제공
📌 단점:
- 초보자는 프롬프트 작성에 어려움을 느낌
- 무료 체험 제한(5회) 이후 유료 전환 필요
- 한국어 입력보단 영어 프롬프트에 최적화
2️⃣ 빙 크리에이터 –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무료 생성기
“그림 못 그려도 상상은 할 수 있다면, 여긴 놀이터다.”
Bing Image Creator는 마이크로소프트의 DALL·E 3 엔진 기반 생성기로 MS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텍스트 입력만으로 AI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브라우저 기반, 앱 설치 필요 없음
- 한국어 프롬프트 완벽 대응
- 일일 포인트 기반 무료 사용 가능
- 빠른 처리 속도와 직관적 UI
📌 단점:
- 해상도는 미드저니보다 낮음
- 현실보다 ‘AI 느낌’이 강한 이미지가 많음
- 이미지 복잡도는 제한 있음 (비주얼 톤이 비슷해지는 경향)
3️⃣ 픽사이브 AI – 일본식 캐릭터 스타일 최적화 플랫폼
“AI도 덕력(?)이 있어야 한다면, 픽사이브가 답입니다.”
Pixai.art는 일본 최대 일러스트 플랫폼 Pixiv에서 운영하는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입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배경 스타일 생성에 특화돼 있어 서브컬처 계열 유저에게 매우 인기 있습니다.
- 태그 기반 + 텍스트 입력 병행 가능
- NSFW(19금) 포함 폭넓은 설정
- 캐릭터 포즈, 의상, 배경 등 세밀 설정
- 무료/유료 크레딧 방식
📌 단점:
- 한국어 입력 시 정확도 떨어짐 (일본어/영어 추천)
- 지나치게 ‘캐릭터 스타일’ 위주라 실사용 범위는 제한적
📊 AI 이미지 생성 툴 비교표
항목 | 미드저니 | 빙 크리에이터 | 픽사이브 AI |
---|---|---|---|
출력 이미지 스타일 | 예술적, 초현실적 | 일반적, 설명 중심 | 캐릭터, 일러스트 |
한국어 입력 | 지원 불안정 | 완전 지원 | 부분 지원 |
해상도 | 최상 (업스케일 가능) | 중간 | 중간~높음 |
프롬프트 자유도 | 매우 높음 | 보통 | 높음 (태그 기반) |
사용 난이도 | 중~상 | 매우 쉬움 | 중간 |
저작권/상업적 이용 | 유료 사용시 상업 가능 | 비상업적 OK, 상업은 제한 | 조건부 가능 (출처 명시 필수) |
✅ 결론 및 추천 사용자 유형
사용자 유형 | 추천 생성기 |
---|---|
디자인 작업, 마케팅 시각자료 | 미드저니 |
가볍게 써보는 일반 사용자 | 빙 크리에이터 |
캐릭터 제작, 서브컬처 활용 | 픽사이브 AI |
📌 프롬프트 실력이 곧 결과물의 품질로 이어집니다.
짧게는 “사진처럼”,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같은 수식어를 넣는 것만으로도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성 툴 비교 (Notion, Evernote, Obsidian) (0) | 2025.04.11 |
---|---|
40대 직장인을 위한 건강 관리 앱 비교 (캐시워크, 마이핏니스팔, 굿슬립) (0) | 2025.04.11 |
업무 자동화 툴 비교 (IFTTT, Zapier, 네이버웍스) (0) | 2025.04.10 |
취준생을 위한 자기소개서 앱/사이트 비교 (잡코리아, 애드레소, 크레딧잡) (0) | 2025.04.10 |
일본 전통 공예 제품 비교 (기후, 도쿄, 오사카) (0) | 2025.04.10 |
댓글